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성남시 출산·육아 지원금 총정리 & 신청 방법

by 기쁨나눔 2025. 3. 25.

성남시에 거주하고 있다면 출산과 육아에 대해 국가, 경기도, 성남시로부터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올해는 특히 제도 개선과 금액 인상도 있었는데요.

각 항목별 지원금 + 신청 방법을 출생 순위별로 알아보고, 실제 신청은 어디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까지 정리해 드립니다!


1. 출산장려금 (성남시)

지원금액:

• 첫째 30만 원
• 둘째 50만 원
• 셋째 100만 원

지급형태: 현금

신청처: 주민등록지 동 행정복지센터

신청방법: 방문 신청

신청시기: 출생신고 후 성남시 거주 180일 경과 시

필요서류: 신분증, 가족관계증명서, 통장사본 등

2024년 대비 달라진 점: 거주 요건이 완화됨 (출생일 기준 → 출생신고 후 180일 경과)


2. 산후조리비 (경기도)

지원금액: 출생아 1명당 50만 원 (다태아는 2배 이상)

지급형태: 지역화폐(성남사랑상품권)

신청처: 정부 24 또는 경기도 산후조리비 홈페이지

신청방법: 온라인 또는 방문

신청시기: 출생일 기준 12개월 이내

필요서류: 산모 신분증, 출생증명서, 지역화폐 카드

2024년 대비 달라진 점: 다태아일 경우 배수 지급


3. 첫 만남이용권 (국가)

지원금액:

• 첫째 200만 원
• 둘째 이상 300만 원 (2025년 상향 예정)

지급형태: 바우처 (국민행복카드)

신청처: 복지로, 정부 24, 동 행정복지센터

신청방법: 온라인 또는 방문

신청시기: 출생일로부터 60일 이내

필요서류: 국민행복카드, 주민등록등본 등

2024년 대비 달라진 점: 둘째 이상은 300만 원으로 상향 / 모바일 바우처 가능


4. 부모급여 (국가)

지원금액:

• 0세: 월 100만 원
• 1세: 월 50만 원

지급형태: 현금 (가정양육 시), 보육료 (어린이집 이용 시)

신청처: 복지로, 정부 24, 동 행정복지센터

신청방법: 온라인 또는 방문

신청시기: 출생 직후부터

필요서류: 통장 사본, 아동 주민등록등본


5. 아동수당 (국가)

지원금액: 월 10만 원 (만 8세 미만까지)

지급형태: 현금

신청처: 복지로, 정부 24, 동 행정복지센터

신청방법: 온라인 또는 방문

신청시기: 출생 직후부터

필요서류: 신분증, 주민등록등본 등

2024년 대비 달라진 점: 지급 연령이 만 7세 → 만 8세로 확대


6. 다자녀 아동양육수당 (성남시)

지원금액: 셋째 이상 자녀에게 월 10만 원 (취학 전까지)

지급형태: 현금

신청처: 동 행정복지센터

신청방법: 방문

신청시기: 셋째 자녀 출생 후 즉시

필요서류: 가족관계증명서, 통장사본, 주민등록등본

2024년 대비 달라진 점: 신청 절차 간소화, 전입가정도 대상


출생 순위별 받을 수 있는 총 지원금 요약 (한 아이 기준)

첫째: 약 2,080만 원

둘째: 약 2,300만 원

셋째: 약 3,020만 원


※ 총액은 일시금 + 8세까지 매월 지급되는 현금까지 포함한 기준입니다.
※ 0~2세 시기에 가장 많은 금액이 집중 지급됩니다.


✅ 마무리 꿀팁!

대부분의 지원금은 ‘신청해야만’ 받을 수 있어요.

출생 직후부터 순서대로 차근차근 신청하세요.

동 행정복지센터를 먼저 방문하면 전체 안내를 받기 좋고, 온라인에 익숙하다면 복지로, 정부 24에서 대부분 신청 가능해요.

국민행복카드는 미리 발급해 두면 바우처 수령 시 편리합니다.